본문 바로가기
소방

청정소화약제

by 날아라고니 2021. 12. 31.
반응형

청정소화약제

1. 소화약제의 정의

   취소가 함유된 염화불화탄소(CFC)물질 대신에 대기성층권ㅇ르 구성하는 오존층의 오존과 반응성이 미약하면서 취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수소화염화불화탄소(HCFC)가 주체가 되는 Halon 대체물질로서 오존파괴지수(ODP)와 지구온난화지수(GWP)0에 가까운 트리플루오르디크로로에탄(HCFC-123)이 개발

 

2. 청정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약제 Freon 명칭
HCFC 계열 클로로데트라플루오르에탄 HCFC-125
HFC 계열 트리플루오르메탄 HFC-23
펜타플루오르에탄 HFC-125
헵타플루오르프로판 HFC-227ea
FC 계열 퍼플루오르부탄 FC-3-1-10
혼합소화약제 계열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르카본혼화제 HCFC BLEND A
불연성불활성 기체 혼화제 IG-541

 

3. 소화약제에 관한 법, 제도 및 CODE

 가. 몬트리올의정서

  1) UNEF(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

  2) HTOC(Halon Technical Option Commitee)

 나. 미국환경보호청(U.S EPA)

 다. 미국방화협회 2001(NFPA 2001)

 라. CCAP(Climate Change Action Plan)

 마. 국제표준기구(ISO)

 바. 행정자치부 고시

 

4. 소화약제의 공통적 기준

 가. 물성

  1) 소화약제를 사용한 후 잔유물이 없다.

  2) 피연소물질에 물질, 화학적변화를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3) 전기화재에도 사용이 가능한 낮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비열 값이 크고 증발시 증발잠열이 커야 한다.

 

 나. 환경영향성

  1) 오존파괴지수(ODP)

      ODP = 어떠한 물질 1kg에 의해서 파괴되는 오존량 / CFC-11물질 1kg에 의해서 파괴되는 오존량

  2) 지구온난화지수(GWP)

      GWP = 어떠한 물질 1kg에 의한 지구의 온난화 정도 / CFC-11물질 1kg에 의한 지구의 온난화 정도

 

 다. 독성

  1) LC0    : 한 마리의 동물도 사망하지 않는 최고농도

  2) LC50  : 반수의 동물이 사망하는 최저농도

  3) LC100 : 모든 동물이 사망하는 최저농도

 

 라. 청정성

  1) 화재를 소화한 후 잔유물이 없어야 한다.

  2) 저장용기 충저닛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3) 소화과정에서 열분해생성가스의 발생이 적어야 한다.

 

 마. 저장안정성, 부식성 및 상용성

  1) 소화기구 또는 용기저장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2) 금속에 대해서 부식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3) 합성수지나 고무제품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상용성이 양호하여야 한다.

 

 바. 열분해물의 조성 및 양

  1) 열분해물의 발생이 적어야 한다.

  2) 발생되는 열분해물 역시 독성이 없거나 적어야 한다.

 

5. 소화약제의 성상

 가. HCFC 계열

  1) HCFC-123(CF3CHCl2)

  2) HCFC-124(CF3CHClF)

 

 나. HFC 계열

  1) HFC-23(CHF3)

  2) HFC-125(CF3CF2H)

  3) HFC-227ea(CF3CHFCF3)

 

 다. FC 계열

  1) FC-2-1-8(C3F8)

  2) FC-3-1-10(C4F10)

  3) FC-5-1-14(C6F14)

 

 라. 혼합소화약제

  1) HCFC BLEND A

  2) IG-541

 

 마. 2세대 Halon 대체물질

  1) FIC-13I1(CF3I)

 

6. 청정소화약제의 소화작용 및 적응화재

 가. 소화약제의 소화작용

  1) 냉각소화작용

  2) 질식소화작용

  3) 부촉매소화작용

 

 나. 소화약제의 적응화재

  1) 적응화재

   가) 일반화재(A급화재)

   나) 유류화재(B급화재)

   다) 전기화재(C급화재)

   라) 가스화재(E급화재)

  2) 장점

   가) 전역방출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화재(A급화재)에도 적응된다.

   나) 전기의 불량도체이다.

   다) 부촉매에 의한 연소의 억제작용이 크며, 소화능력이 우수하다.

   라)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마) 증거보존이 가능하다.

   바) 변질, 부패, 분해 등의 화학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사) 피연소물질에 물리, 화학적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아)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다.

   자) 지구온난화지수가 낮다.

  3) 단점

   가) 소화약제의 가격이 비싸다.

   나) HCFC-124 물질과 HFC-125 물질은 사람이 있는 장소에서 인체에 유해하므로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7. 청정소화약제의 저장 및 방출방식

 가. 청정소화약제의 저장용기 충전비

소화약제 HCFC-
124
HFC-23 HFC-124 HFC-
227ea
FC-3-1-10 HFC BLEND A IG-541
충전비
(L/kg)
1.14 0.87 0.93 1.16 1.28 0.90

 

 나. 청정소화약제의 저장용기 충전압력

소화약제 HCFC-
124
HFC-23 HFC-124 HFC-
227ea
FC-3-1-10 HFC BLEND A IG-541
충전압력
20
(kg/cm2)
13.7 42.8 11.7 25.3 25.3 25.3
(42.3)

 다. 소화약제의 방충방식

  1) 전역방출방식

  2) 국소방출방식

 

8. 청정소화약제의 소화설비의 설치 제외

 가. 사람이 상주하는 곳으로서 최대허용설계농도를 초과하는 장소

 나.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령 별표 1의 제3류 위험물 및 제5류 위험물을 사용하는 장소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화공학  (0) 2022.01.05
화재의 특성  (0) 2022.01.03
연소  (0) 2022.01.02
분말소화약제  (0) 2022.01.01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0) 2021.12.30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0) 2021.12.29
포소화약제  (0) 2021.12.28
물소화약제  (0) 2021.12.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