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소화약제
1. 물소 화약제의 장점 및 단점
가. 물소화약제의 장점
1) 가격이 저렴
2) 저장⦁취급이 다른 소화약제에 비하여 용이
3) 장기간 저장하여도 쉽게 부패⦁변질되지 않음.
4) 비용이 절감
나. 물소화약제의 단점
1) 온도가 낮은 극지방이나 동절기에는 자연 그대로 사용할 수 없음.
2) 화재의 소화 시 피연 소 물질에 피해를 유발함.
3) 유류화재나 전기화재에 사용할 수 없음.
2. 물소 화약제의 특징
가. 물의 물리적 성상
1) 물의 비열, 융해열, 기화열
가) 비열 : 어떤 물질 1g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의 양
나) 융해열 : 0℃의 얼음 1g이 0℃의 액체상인 물 1g으로 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79.7㎈/g
다) 기화열 : 100℃의 물 1g이 100℃의 기체상인 수증기 1g으로 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539.6㎈/g
2) 물의 비등점 및 증기압
가) 비등점 : 액체가 표면과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면서 끓기 시작하는 온도 1기압에서 100℃이다.
나) 증기압 : 액체 또는 고체에서 증발하는 압력 100℃에서의 증기압은 760mmHg이다.
3) 물의 점도(점성)
가) 점도 : 액체가 유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저항
(1) 절대점도 : ① Poise(g/cm⦁sec)
② 유동 상태에서 그 물질의 운동방향에 거슬러 저항하는 끈끈한 정도
(2) 동점도 : ① 절대점도(g/cm⦁절대 점도(g/cm⦁sec) / 밀도(g/cm3) = cm2/sec
② 얼마나 유동성이 좋은가 = 잘 흐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상대적인 지표
4) 물의 표면장력
- 물의 수소결합으로 나타나는 특성
- 액체 분자 간의 인력에 의하여 나타나는 힘으로 표면력을 최소화하려는 현상
※ 공유결합 : 비금속 원자들이 홀 전자 하나씩 내놓고 전자 싸을 이루어 서로 공유하는 결합
3. 물소 화약제의 소화작용 및 적응 화재
가. 소화약제의 소화작용
1) 냉각 소화작용
가) 비열과 기화열 값이 비교적 크다.
나) 화재 발생장 소이 주위로부터 많은 열을 흡수한다.
다) 빠른 시간 내에 화재의 온도를 발화점 이하로 냉각시킴.
2) 질식 소화작용
가) 물을 분무상으로 방사하는 물분무 소화설비나 분무 노즐을 사용
나) 비중이 물보다 무거운 제4류 제3석 유류인3 중유 또는 윤활유, 아스팔트유 등
다) 유류에 대한 기포 형성이 뛰어난 수 성막 표 소화약제를 물과 혼합하여 사용
3) 유화 소화작용
가) 유화층을 형성하는 유화 막에 의해서 액체 가연물질로부터 발생하는 가연성 증기가 발생이 억제
나) 질식소화효과를 얻기 위해서 방사할 때 보다 강한 방사 압력이 필요
다) 방사되는 물입자의 직경도 보다 큰 것이 요구됨.
라) 물분무 소화설비가 있으며, 비중이 항상 물보다 큰 가연물질의 화재 시 적용됨.
4) 희석 소화작용 : 수용성 가연물질인 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 케톤류 등의 화재 시 많은 양의 물을 일시에 방사하여 가연물질의 연소 농도를 소화농도 이하로 묽게 희석시켜 소화.
5) 타격에 의한 소화작용 : 물소 화약제를 고압으로 방사하는 경우 방사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고압의 물이 가연물질의 화재 위력을 저하시키거나 외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파괴함으로써 화재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제한
나. 소화약제의 사용목적
1) 화재의 소화를 목적
가) 70℃ 이상의 인화점을 가지는 가연성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나)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차고 또는 주차장
다) 위험물을 취급하는 화학 공자의 모든 설비
라) 특수가연물(고무, 면화류 및 합성수지류)을 저장⦁취급하는 장소
마) 제분⦁비누공장⦁제분⦁비누공장⦁먼지 집진기 등 분진 화재의 발생이 예상되는 장소
2) 연소방지를 목적
화재에 의해서 연소되지 아니한 소방대상물에 대하여 화재에 연소되지 않도록 물소 화약제를 분무하여 냉각함으로써 화재로부터 보호
3) 화재의 억제를 목적
화재가 확대되어 이웃한 소방대상물로 전파되는 경우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화재의 세력을 감소시키거나 작게 하여 인적⦁물적 재해를⦁ 최소화
4) 출화의 예방을 목적
화재 발생의 예방을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고온이 되면 발화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이 예상되는 등에 물분무의 냉각 효과로 인하여 안전한 온도로 유지시킴
다. 소화약제의 적응 화재
1) 적응화재
가) 일반가연물화재 : A급 화재급화재
나) 유류화재, 수용성가연물화재 : B급 화재급화재
다) 전기화재 : C급 화재급화재
2) 장점 및 단점
가) 장점
(1) 구입 가격이 저렴
(2) 장기간 저장이 가능
(3) 소화에 대한 냉각소화작용이 우수
(4) 분무상으로 방사 시 중유 화재 및 전기화재에도 적합
나) 단점
(1) 동절기 동결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온이 필요
(2) 피연 소 물질에 대한 후손의 영향이 크다.
(3) 소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
4. 소화약제의 방사방법
가. 봉상주수 : 화재 발생 시 방사하는 형태 중 대표적인 주수 방법으로 소화기구 또는 소화설비의 방사기구로부터 굵고 긴막대기 모양으로 물입자와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방사되는 것
1) 적용 소화설비
가) 물소화기
나) 옥내소화전설비
다) 옥외소화전설비
라) 소방펌프설비
나. 적상주수 : 물 입자가 굵고 긴 막대기가 안개 모양의 중간 형상을 갖는 방울 모양을 하고 있음
1) 적용 소화설비
가) 스프링클러설비
나) 연결살수설비
다. 무상주수 : 물을 구름 또는 안개 모양으로 방사하는 방법
1) 적용 소화설비
가) 물소화기(물소화기(분무 노즐 사용)
나) 옥내소화전설비(옥내소화전설비(분무 노즐 사용)
다) 옥외소화전설비(옥외소화전설비(분무 노즐 사용)
라) 물분무소화설비
5. 소화약제의 첨가제
가. 첨가제의 종류
1) 동결방지제(부동제)
2) 증점제
3) 침투제
4) 그 밖의 첨가제
나. 물소 화약제에 대한 시험
1) 수소이온 농도 측정시험
2) 표면장력시험
3) 분리시험 및 용해 시험
4) 냉동시험
5) 금속부식시험
6) 소방호스 적용성 시험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소 (0) | 2022.01.02 |
---|---|
분말소화약제 (0) | 2022.01.01 |
청정소화약제 (0) | 2021.12.31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0) | 2021.12.30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0) | 2021.12.29 |
포소화약제 (0) | 2021.12.28 |
화재의 소화 (0) | 2021.12.23 |
화재 총론 (0) | 2021.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