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총론
1. 화재의 정의 및 분류
가. 화재의 정의
화재란 가연물질의 연소현상인 불을 취급⦁사용하는 장치⦁설비 및 이들을 제어하는 사람의 부주의와 불안정한 상태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어 사람의 신체⦁생명뿐만 아니라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다주는 재앙을 말하며, 이로운 불과 해로운 불 중 후자의 불을 말하는 것
1) 화재란 가연물질의 연소의 연속적인 연쇄반응으로 인적⦁물적 재해를⦁ 수반하며,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다주는 현상
2)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발생되어 확대되거나 방화에 의하여 발생되어 소화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연소현상
3)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출화 또는 방화에 의하여 발생하고 확대되는 거대한 연소현상
4) 화재란 화열의 사용목적을 떠나 다른 물질에 화염을 전달하여 예기치 않은 경제상의 손실을 일으키게 하는 현상
5) 화재란 자연 또는 인위적인 원인에 의하여 불이 물체를 연소시키고, 인명과 재산에 손해를 끼치는 행위를 하는 현상
나. 화재의 분류
화재를 화재가 발생하는 대상물, 화재발생시의 소실 상태,, 화재를 일으키는 원인, 화재를 일으키는 가연물질의 형태, 화재에 의한 피해규모 등에 의해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물에 의한 분류
가) 건축물 화재
나) 차량화재
다) 선박화재
라) 항공기화재
마) 산림화재
바) 열차화재
사) 임야화재
아) 위험물화제
2) 소실 상태에 의한 분류
가) 극소화재 : 화재로 인한 피해액이 경미하여 피해조사가 필요하지 아니한 화재
나) 부분소화재 : 전체의 10% 이상 20% 미만이 소실된 것으로서 전소⦁반소⦁극소 화재에⦁반소⦁ 해당하지 아니한 화재
다) 반소화재 : 전체의 20% 이상 70% 미만이 소실된 것으로서 재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화재
라) 전소화재 : 전체의 70% 이상이 소실된 것 또는 그 이하라 할지라도 보수를 행하여도 재사용할 수 없는 정도의 화재
3) 화재원인에 의한 분류
가) 실화
나) 방화
다) 자연발화
라) 천재발화
마) 기타
4) 가연물질의 형태에 의한 분류
가) 일반화재
나) 유류화재
다) 전기화재
라) 금속화재
마) 가스화재
5) 피해규모에 의한 분류
가) 소형화재
나) 중형화재
다) 대형화재
2. 화재의 종류별 급수 및 발생원인
가. 화재의 종류별 급수
한국 | 미국 | |
A급 | 목재⦁종이⦁섬유류 등의 가연물 |
목재⦁종이⦁섬유류 등의 가연물 |
B급 | 유류⦁수용성액체 가연물질⦁동식물유류 | 유류⦁수용성액체 가연물질⦁동식물유류 |
C급 | 전기 | 전기 |
D급 | 금속 | 금속 |
E급 | 기체가연물질 (압축⦁액화⦁용해) |
기체가연물질 (압축⦁액화⦁용해) |
나. 화재의 종류별 발생원인
1) 일반화재
가) 화기 또는 열원을 취급⦁사용하는 아궁이⦁연소장치 등에서의 취급 부주의
나) 어린이들의 불장난
다) 타다 남은 불티의 취급 부주의
라) 흡연장소가 아닌 곳에서의 담뱃불 취급 부주의
마) 발화원인 성냥⦁양초 사용 시의 취급 부주의
바) 고온의 화기 또는 열원을 사용하는 공장⦁작업장에서의 취급 부주의
사) 감정에 의한 방화
2) 유류화재
가) 유류 펴면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공기와 적당히 혼합되어 연소범위 내에 있는 상태에서 점화 원인 열 또는
화기에 접촉되었을 때
나) 유류를 취급⦁사용하는 기기⦁기구 등에 주유하던 중 조작하는 사람의 부주의로 인하여 흘러나온 유류 또는
난방기기⦁기구에서 새어 나온 유류에 점화 원인화기나 열이 접촉되었을 때
다) 석유난로⦁보일러 등의 유류 기기⦁기구를⦁ 장시간 과열시켜 놓고 자리를 비우거나 관리가 소홀하여 부근의
가연물질에 인화되었을 때
라) 연소기구⦁난방기구의 전도, 가연물질의 낙하 등에 의해 발화될 때
3) 전기화재
가) 단락(합선)
나) 과전류
다) 지락
라) 누전
마) 절연불량
4) 금속화재
나트륨(Na), 칼륨(K),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철(Fe) 등의 금속의 가공⦁연마⦁세공작업 시에⦁연마⦁ 발생되는 분⦁박⦁리본이 점화원과 접촉하는 경우
5) 가스화재
가) 아파트⦁주택 등에 설치된 가스용품의 취급⦁사용 시의⦁ 부주의
나) 가스용기의 운반 중 용기 취급자의 안전관리기술 부족으로 인한 충전용기의 전도⦁낙하 등의 충격
다) 가스배관의 부식⦁파열 등으로 인한 가스폭발
라) 가스배관의 정압기 고장으로 인한 과량의 가스가 공급되어 가스의 압력이 증가
마) 가스를 취급⦁사용하는 사람들의 안전수칙 미숙지로 인한 경우
바) 가스기기⦁기구 등의 제품 및 시설불량
사) 가스기기⦁기구를 다량으로 취급⦁사용하는 음식점⦁다방⦁공장⦁작업장 등에서 가스 안전관리자의 안전관리기술 부족으로 인한 관리 소홀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소 (0) | 2022.01.02 |
---|---|
분말소화약제 (0) | 2022.01.01 |
청정소화약제 (0) | 2021.12.31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0) | 2021.12.30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0) | 2021.12.29 |
포소화약제 (0) | 2021.12.28 |
물소화약제 (0) | 2021.12.26 |
화재의 소화 (0) | 2021.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