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포소화약제

by 날아라고니 2021. 12. 28.
반응형

포소화약제

1. 포소화약제의 정의 및 분류

 가. 포소화약제의 정의

     주원료에 포안정제 그 밖의 약제를 첨가한 액상의 것으로 물과 일정한 농도로 혼합하여 공기 또는 불활성기체를 기계적으로 혼입시킴으로써 거품을 발생시켜 소화에 사용하는 약제를 말함.

 

  1) 화학포소화약제

     A제와 B제로 구분되어 있으며, 화재발생시 A제와 B제를 서로 혼합시켜 이때 화학반응에 의해서 발생되는 포를 사용하여 화재를 소화하도록 제조되어 있는 포소 화약 제이다.

  2) 기계포(공기포)소화약제

   가) 단백포소화약제 : 단백질을 가수 분해한 것을 주원료로 하는 포소화약제

   나)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

   다) 수성막포소화약제

   라) 알코올형포소화약제

   마) 불화단백포소화약제

 

 나. 소화약제의 분류

  1) 주성분에 의한 분류

   가) 기계 표 소화약제

    (1)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2)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합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탄화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3) 합성계면활성제

     ()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

     () 탄화 불소계 계면활성제

 

  2) 발포 방법에 의한 분류

   가) 화학포

        6NaHCO₃ + Al₂(SO₄)₃⦁18H₂O → 6CO + 3Na₂SO₄ + 2Al(OH)₃ + 18H₂O

   나) 기계포

        빠른 시간 내에 대규모의 화재를 소화할 수 있음.

 

2. 포소화약제의 성상

 가. 화학 포소 화약제의 성상

  1) A(황산알루미늄)의 성상

  2) B제(탄산수소 나트륨)의제(탄산수소나트륨) 성상

 

 나. 단백포소화약제의 특성

  1) 단백포소화약제의 제조

     원료인 단백질의 채취 가수분해 공정 여과공정 → 중화탈염공정 → 농축공정 → 조정공정

 

  2) 단백포소화약제의 성상

   가) 부식성 : Fe + S FeS

   나) 저장성

   다) 유동성

   라) 공통적성상

   마) 조성

   바) 이⦁화학적물성

 

 다.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의 특징

  1) 계면활성제 : 친수성 + 친유성(소수성)

  2) 계면활성제의 4종류

   가) 양이온 계면활성제

   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비누)

   다) 양쪽성 계면활성제

   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의 특성

   가) 수명이 다른 포소 화약제에 비하여 길다.

   나) 세제 공해의 원인이 된다.

 

 라. 수성막포소화약제 

 마. 알코올형포소화약제

 바. 불화단백포소화약제

 

3. 포소화약제의 저장 및 혼합방식

 가. 화학포소화약제의 저장 및 혼합방식

  1) 1 약 건식의 저장 방식

  2) 2 약 건식의 저장 방식

  3) 2 약 습식의 저장 방식

 

 나. 기계포소화약제의 저장 및 혼합방식

  1) 기계포소화약제의 저장량 산출

   가) 고정 포방 출구 방식

        Q = A × Q1 × T × S

       Q : 포소 화약제의 양(L)

       A : 탱크의 액 표면적(m2)(m2)

       Q1 : 단위 포소 화수 용액의 양(L/M2)

       T : 방출시간()

       S : 포소 화약 제이 사용농도

 

   나) 보조 소화전에서 방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

        Q = N × S × 8000L

       Q : 포소 화약제의 양(L)

       N : 호스 접 결구의 수(3개 이상인 경우는 3)

       S : 포소 화약 제이 사용농도

 

   다) 옥내소화전 방식 또는 호스릴 방식

        Q = N × S × 6000L

       Q : 포소 화약제의 양(L)

       N : 호스 접 결구의 수(5개 이상인 경우는 5)

       S : 포소 화약 제이 사용농도

 

  2) 기계포소화약제의 혼합장치

   가) 라인프로포셔너라인 프로포셔너(Line proportioner) 방식 = 관로 혼합장치 방식

   나) 프레져프로포셔너프레져 프로포셔너(Pressure proportioner) 방식 = 차압 혼합장치 방식

   다) 펌프프로포셔너펌프 프로포셔너(Pump proportioner) 방식 = 펌프 혼합장치 방식

   라) 프레져사이드프로포셔너프레져 사이드 프로포셔너(Pressure side proportioner) 방식 = 압입 혼합장치 방식

 

4. 포소화약제의 소화작용

 가. 화학 포소 화약제의 장점 및 단점

  1) 장점

   가) 일반화재유류화재의 소화용으로 사용

   나) 소화 후에는 재연의 위험성이 없다.

   다) 가연물질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소화한다.

  2) 단점

   가) 영하 5이하에서는 보온을 필요로 한다.

   나) 소화약제의 수명이 짧다.

   다) 소화약제에 의한 피연 소 물질의 피해가 우려된다.

 

 나. 단백포소화약제의 장점 및 단점

  1) 장점

   가) 구입 가격이 저렴하다.

   나) 밀봉 성 및 내화성이 우수하여 대형 유류저장탱크의 소화설비에 적합하다.

  2) 단점

   가) 소화 속도가 느리다.

   나) 소화약제의 보존기간이 짧다.(수명이 3년 이내)

 

 다. 수성막포소화약제의 장점 및 단점

  1) 장점

   가) 유동성이 우수한 포와 수성 막을 형성하므로 초기소화 속도가 신속하여 유출유의 화재에 가장 적합하다.

   나) 유류에 오염되지 않으므로 표면 하주 입방식에 의한 설비를 할 수 있다.

   다) 소화약제의 보존기간이 반영구적이다.

  2) 단점

   가) 내열성이 약하다

   나) 구입 가격이 비싸다.

   다) 포가 없는 수성 막 단독으로는 화재를 소화할 수 없다.

 

 라.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의 장점 및 단점

  1) 장점

   가) 유류 표면에 대해 유동성이 양호하여 소화 속도가 빠르다.

   나) 유출 유화재에 적합

   다) 저발포, 고발포로의 사용이 가능

   라) 일반화재, 유류화재에 모두 적용

   마) 소화약제의 보존기간이 반영구적

   바) 지하상가, 창고 화재의 소화에 적합

  2) 단점

   가) 내열성, 내유성이 약하다

   나) 유류저장탱크의 시설에 부적합하다.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소  (0) 2022.01.02
분말소화약제  (0) 2022.01.01
청정소화약제  (0) 2021.12.31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0) 2021.12.30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0) 2021.12.29
물소화약제  (0) 2021.12.26
화재의 소화  (0) 2021.12.23
화재 총론  (0) 2021.12.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