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말소화약제
1. 소화약제의 정의
불꽃과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이때 생성되는 물질에 의한 연소반응차단(부촉매효과, 억제), 질식, 냉각, 방진효과 등에 의해 소화하는 약제
2. 분말소화약제의 종류
가. 1종 소화분말
1) 중탄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NaHCO₃
2) 구입가격이 저렴하다.
3) 저장, 취급이 다른 소화분말에 비하여 용이
나. 2종 소화분말
1) 중탄산칼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KHCO₃
2) 구입가격이 제1종 소화분말에 비하여 고가이다.
3) 수분의 흡습률이 높아 저장, 취급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다. 3종 소화분말
1) 인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한 것, NH₄H₂PO₄
2) 구입가격이 제1종 소화분말에 비하여 고가이나 다른 소화분말에 비교하여 경제적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라. 4종 소화분말
1) 제2종과 요소를 혼합한 것, KHCO₃ + (NH₂)₂CO
2) 가격이 고가이다.
3) 다른 소화분말에 비하여 소화성능이 우수하나 일반가연물화재에 적응하지 아니하므로 현재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고 있다.
4) 수분의 흡수율이 높아 저장, 취급시 주의가 요구된다.
3. 분말소화약제에 요구되는 성질
가. 분말의 자유듀동성이 좋아야 한다.
나. 수분의 침투에 대한 내습성을 가져야 한다.
다. 비고화 경향성을 가져야 한다.
라. 미세한 입자직경을 가져야 한다.
마. 일정한 겉보기비중을 가져야 한다.
바. 부식성과 독성이 없어야 하며, 열분해시 또는 수용성 상태에서 부식성 및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없는 경년적인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4. 소화분말의 종별 주성분, 화학식 및 표시색상
제1종 | 제2종 | 제3종 | 제4종 | |
주성분 |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수소칼륨 | 제1인산암모늄 | 탄산수소칼륨+요소 |
화학식 | Na₂HCO₃ | KHCO₃ | NH₄H₂PO₄ | KHCO₃ + (NH₂)₂CO |
표시색상 | 백색 | 담회색 | 담홍색 | 회색 |
5. 소화분말의 종별 충전비
소화분말의 종별 | 제1종 | 제2종 | 제3종 | 제4종 |
충전비 | 0.8 | 1.0 | 1.0 | 1.25 |
가. 문1) 제1종 소화분말 45kg을 저장하려면 내용적 20L의 용기 몇 개가 필요하겠는가?
※ 필요한 저장용기의 수(n)
n = 저장하여야 할 소화분말의 양(W) × 충전비 / 저장용기의 내용적(V)
= 45kg × 0.8(L/kg) / 20 = 1.8 ≒ 2개
나. 문2) 제4종 소화분말을 내용적 50L의 저장용기에 충전하려고 한다. 충전할 수 있는 제4종 소화분말의 양(kg)은
얼마가 되겠는가?
※ 충전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양(W)
W = 저장용기의 내용적(V) / 충전비
= 50L / 1.25(L/kg) = 40kg
6. 분말소화약제의 장, 단점
가. 장점
1) 소화성능이 우수하며, 표면화재 및 심부화재에 적합하다.
2) 화재의 확대 및 급속한 인화성 액체의 소화에 적합하다.
3) 전기절연성이 높아 고전압의 전기화재에도 적합하다.
4) 소화약제의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경제적이다.
나. 단점
1) 피연소물질에 피해를 끼친다.
2) 소화약제 자체는 무해하나 열분해시에 유해성가스를 발생하는 것도 있다.
3) 유체가 아니므로 배관내의 흐름시 고압을 필요로 한다.
7. 분말소화약제의 소화작용 및 적응화재
가. 제1종 소화분말의 소화작용
1) 냉각소화작용
2) 질식소화작용
3) 부촉매소화작용
나. 제1종 소화분말의 적응화재 등
1) 적응화재
가) 유류화재(B급화재)
나) 전기화재(C급화재)
다) 가스화재(E급화재)
2) 장점
가) 소화약제의 구입가격이 저렴하다.
나)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한다.
다) 유류, 전기화재의 소화에 적응된다.
3) 단점
가) 일반가연물화재에는 적응할 수 없다.
나) 소화 후 불씨에 의해서 재착화(재연)할 우려가 있다.
다) 소화가 종료된 후에라도 과열된 금속 등에 의해서 재착화할 우려가 있다.
다. 제2종 소화분말의 소화작용
1) 냉각소화작용
2) 질식소화작용
3) 부촉매소화작용
라. 제2종 소화분말의 적응화재 등
1) 적응화재
가) 유류화재(B급화재)
나) 전기화재(C급화재)
다) 가스화재(E급화재)
2) 장점
가)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한다.
나) 제1종 소화분말에 비하여 2배의 소화능력이 있다.
다) 전기화재(C급화재)에 적응된다.
3) 단점
가) 일반가연물화재의 소화에는 부적합하다.
나) 소화가 종료된 후에라도 과열된 금속 등에 의해서 재착화할 우려가 있다.
다) 고여있는 유류화재인 경우 재착화할 우려가 있다.
마. 제3종 소화분말의 소화작용
1) 냉각소화작용
2) 질식소화작용
3) 부촉매소화작용
4) 방진소화작용
5) 탈수탄화작용
바. 제3종 소화분말의 적응화재 등
1) 적응화재
가) 일반가연물화재(A급화재)
나) 유류화재(B급화재)
다) 전기화재(C급화재)
라) 가스화재(E급화재)
2) 장점
가)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한다.
나) 모든 화재에 적응된다.
다)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3) 단점
가) 유류화재인 경우 점화원이 있으면 재연한다.
나) 유류화재인 경우 주위에 과열된 금속이 있으면 재연한다.
다) 일반가연물인 솜, 종이, 스폰지뭉치의 화재시 내부까지 약제가 침투하지 못함으로 효력을 기대할 수 없다.
사. 제4종 소화분말의 소화작용
1) 적응화재
가) 유류화재(B급화재)
나) 전기화재(C급화재)
다) 가스화재(E급화재)
2) 장점
가)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한다.
나) 모든 소화분말 중 소화성능이 가장 우수하다.
다)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3) 단점
가) 일반가연물화재의 소화에는 부적합하다.
나) 소화가 종료된 후에라도 과열된 금속 등에 의해서 재착화할 우려가 있다.
다) 구입가격이 고가이다.
8. 분말소화약제의 저장 및 방출방식
가. 소화약제의 저장
1) 포장용기에 저장
가) 철제포장용기에 저장
나) 골판지 포장용기에 저장
2) 소화기에 저장
가) 가스가압식 소화기에의 저장
나) 축압식소화기에의 저장
3) 소화설비 저장용기에 저장
가) 전역방출방식에 의한 저장
나) 국소방출방식에 의한 저장
다) 이동방출방식(호스릴)에 의한 저장
나. 소화약제의 방출방식
1) 전역방출방식
2) 국소방출방식
3) 이동방출방식(호스릴식)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발개론 (0) | 2022.01.06 |
---|---|
방화공학 (0) | 2022.01.05 |
화재의 특성 (0) | 2022.01.03 |
연소 (0) | 2022.01.02 |
청정소화약제 (0) | 2021.12.31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0) | 2021.12.30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0) | 2021.12.29 |
포소화약제 (0) | 2021.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