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방화공학

by 날아라고니 2022. 1. 5.
반응형

방화공학

1. 방화안전의 기본요건

 가. 인명안전이 우선

 나. 주변공간에의 가해방지

 다. 건물 내 연소방지에 관하여

 라. 시가지의 화재확대방지

 마. 출화방지와 소방활동의 Fail-safe

 

2. 방화안전을 위한 기본요건의 내용

 가. 출화 및 급격한 화재확대의 방지

  1) 화원, 수납물의 고나리

  2) 위험물 등을 취급하는 건축물에의 배려

 

 나. 피난안전의 확보

  1) 피난상 현저히 지장이 있는 건축재료 등의 사용제한

  2) 적절한 피난계획

  3) 안전한 피난장소의 확보

  4) 안전한 피난 경로의 확보

 

 다. 주변에의 가해방지

  1) 주변의 건축물 또는 건축물 내의 다른 부분에의 연소방지

  2) 사회적으로 중요한 지장을 미치는 연소방지

  3) 건축물의 기능회복

  4) 사회적으로 중요한 지장을 미치는 도괴의 방지 

 

 라. 소방활동의 확보

  1) 소방활동상 현저히 지장이 있는 건축재료 등의 사용제한

  2) 소방대에 의한 인명탐색, 구조활동의 확보

  3) 소방대에 의한 소화, 연소방지 활동의 확보

 

3. 출화확대방지

 가. 출화방지

 

 나. 인명안전상 유해한 연소 방지

  1) 내장재료의 선택

  2) 자동소화설비에 의한 대체

 

 다. 다른 공간(동일 건물 내)에의 확대방지

  1) 동일 층에서의 연소방지

   가) , 바닥 등의 구획 부재

   나) 구획관통부, 내부개구부

  2) 외부 개구부를 통한 연소 방지

  3) 수혈을 통한 연소 방지

 

4. 피난안전

 가. 피난안전 설계법

  1) 건축물 내부에 적당한 출화장소를 상정

  2) 피난계획을 작성

  3) 피난경로, 피난장소로 사용될 공간 설정

  4) 핀나행동과 피난시간을 계산

 

 나. 개발된 기술 종류

  1) 안전의 확인을 위하여 필요한 상정 조건

   가) 피난자 조건 : 공간용도별 피난자수 및 피난능력, 피난개시시간 등

   나) 화재 조건 : 건축 용도별 표준화원, 스프링클러의 유무별 화재규모, 개구부 조건설비의 자동 조건, 기상조건 등의 설정방법

  2) 피난자의 피난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계산법 및 표준프로그램

  3) 연기유동제어를 예측하기 위한 계산법 및 표준프로그램

  4) 재실자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기준

      피난경로, 피난장소에 대한 위험요인으로는 연기, , 구조체의 도괴변형 등을 대상으로 한다.

  5) 예측계산 및 안전확인에 필요한 설계자료 및 시험법

 

5. 내화설계

 가. 피난소방활동의 안전확보

 

 나. 부지주변에의 위해방지

 

 다. 피해건물의 물적 재산보전의 세가지 항목을 목적으로 함

 

6. 화재로 인한 재해예방 대책

 가. 가연물의 집적방지

     화재가 확대될 때는, 출화점 근처에 다량의 가연물이 집적되어 그것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나. 건물설비의 불연화

     건물은 방화구조가 되어 있는 내화구조로서, 내부의 가구, 기구 등의 설비도 가능한 한 불연성의 재료를 사용한다.

 다. 방화벽, 방유제 및 방액제 등의 정비

     건물의 중간이나 통로에 방화벽을 세운다.

 라. 공한지 확보

     위험물질의 저장소 및 위험작업을 행하는 건물의 주변에는 일정한 공한지를 확보하고 화재위험이 다른 시설에 미치지 않도록 고려한다.

 마. 위험물시설 등의 지하매립

      휘발유탱크, LPG탱크 등은 지하탱크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바. 화재예방수칙

  1) 흡연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하고, 반드시 불을 끈 후 재떨이에 버리도록 한다.

  2) 화기 작업시 감시자를 지정배치하고 소화장비를 갖추고 작업한다.

  3) 전원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전기담당자의 안내를 받는다.

  4) 화기엄금, 출입금지 등의 안전표지를 지킨다.

  5) 위험물, 가스사용장소에서 화기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6) 작업후 정리정돈 및 청소를 깨끗이 한다.

  7) 화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소화상태를 확인하고 작업장을 떠나야 한다.

  8) 부서 내에 있는 소화기구 등은 정상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항상 점검관리한다.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발 예방의 일반대책  (0) 2022.01.15
전기방폭  (0) 2022.01.11
기상폭발  (0) 2022.01.09
폭발개론  (0) 2022.01.06
화재의 특성  (0) 2022.01.03
연소  (0) 2022.01.02
분말소화약제  (0) 2022.01.01
청정소화약제  (0) 2021.12.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