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화재, 폭발, 소화

by 날아라고니 2022. 2. 1.
반응형

화재, 폭발, 소화

1. 화재란?

 가. 자연 또는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물체를 연소시키고 인간의 신체, 재산, 생명의 손실을 초래하는 재난

 나.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출화 또는 방화에 의하여 불이 발생하고 확대되는 현상

 다. 불이 그 사용목적을 넘어 다른 곳을 연소시켜 사람들이 예기치 않는 경제상의 손실을 가져오는 현상

  ✔ 발생원인 : 전기, 방화, 담뱃불등

  ✔ 주로발생계절 : 겨울

 

2. 화재의 분류

화재의
종류
A
(일반화재)
B
(유류, 가스화재)
C
(전기화재)
D
(금속화재)
K
(주방화재)
표시색 백색 황색 청색 무색 무색
가연물 목재, 종이, 섬유, 석탄등 각종 유류 및 가스 전기기기, 기계, 전선등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 분말등 식물성, 동물성 기름이나 지방
적용국가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미국 한국, 미국

 

3. 폭발이란?

   압력의 급격한 발생으로 인해 폭음을 수반하는 파괴현상

   ✔ 가연성 가스 또는 혼합가스가 폭발범위 내에 있을 경우 점화원에 의해 발생

  ① 산화폭발 : 가연성가스의 급격한 연소에 의한 폭발(LPG, LNG)

  ② 분해폭발 : 분해성가스가 충격 등에 의해 분해하면서 폭발(아세틸렌, 산화에틸렌)

  ③ 중합폭발 : 중합반응 시 반응열에 의한 폭발(시안화수소, 산화에틸렌)

  ④ 혼합가스폭발 :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의 혼합에 의한 폭발(수소-공기, LPG-공기)

  ⑤ 분무폭발 : 유압설비에서 고압의 유압유가 분출, 공기 중에서 미세한 액적이 되어 폭발

  ⑥ 분진폭발 : 금속, 플라스틱, 유황등이 미세한 분말상태로 공기 중에 부유할 때 발생

 

4. 소화란?

   진행중인 연소현상을 인위적으로 중지시키는 것

 가. 소화약제의 조건

  1) 연소의 4요소 중 한 가지 이상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함.

  2) 경제적이어야 함.

  3) 안전성을 가져야 함.

  4) 환경에 대한 오염이 적어야 함.

  5) 독성이 없어야 함.

 

5. 소화의 종류

 가. 냉각소화 : 물을 주수하여 발화점 이하로 온도를 낮추어 소화

 나. 질식소화 : 공기 중 산소 농도를 21% 15%이하로 낮추어 소화

  ✔ 유화소화 : 유류표면에 엷은 막으로 유화층을 형성

  ✔ 피복소화 : 이산화탄소 등과 같이 공기보다 무거운 약제를 가연물 주변을 덮어 소화

 다. 제거소화 : 가연물을 제거하여 소화

  ✔ 희석소화 : 수용성 물질에 다향의 물을 방사하여 가연물의 농도를 낮추어 소화

 라. 억제소화 : 연속적인 연쇄반응을 억제함과 동시에 냉각, 희석, 제거 등의 작용을 통해 소화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클러설비  (0) 2022.02.04
소화기구의 종류 및 구조  (0) 2022.02.04
옥내 및 옥외소화전 설비 설치기준  (0) 2022.02.03
소방시설의 종류 및 분류  (0) 2022.02.02
연소의 4요소  (0) 2022.01.31
연소이론  (0) 2022.01.31
수소 취급  (0) 2022.01.23
정전기  (0) 2022.01.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