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연소의 4요소

by 날아라고니 2022. 1. 31.
반응형

연소의 4연소

1. 연소의 4연소

 가. 가연물 : 가연성 기체, 액체, 고체

 나. 산소공급원 : 공기, 산화제 등

 다. 점화원 : 활성화에너지, 발화원, 최소점화에너지 등

 라. 지속적인 연쇄반응

 ✔ 연소가 지속되면서 화학적인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화재는 급격히 폭발적으로 확대됨

 

2. 가연물

 가. 가연물 구비조건

  1) 열전도율 값이 적어야 함

  2) 산화되기 쉬운 물질어어야 하며, 산소와 결합 시 발열량이 커야 함

  3) 표면적이 넓어야 함(고체<액체<기체)

  4) 조연성 가스인 산소, 염소 등과 친화력이 좋아야 함

  5) 활성화 에너지 값이 적어야 함

 

 나. 가연물이 될수 없는 물질

  1) 산소와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물질 : CO, HO, AlO

  2) 주기율표 0족 원소인 불활성 기체 : 핼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세논(Xe), 라돈(Rn)

  3) 산소와 화합하여 산화물을 생성하나 흡열반응을 하는 물질 : 질소 또는 질소산화물

  4) 연소하지 않는 물질 : , 흙등

 

3. 산소공급원

 가. 공기

  1) 공기(산소농도 15% 이상일 것), 산소

 

 나. 산화제

  1) 1류 위험물(산화성 고체) :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질산염류, 무기과산화물류등

  2) 6류 위험물(산화성 액체) :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등

 

 다. 자기반응성 물질

  1) 5류 위험물(자기반응성 물질) :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등

 

4. 점화원

 가. 전기불꽃 : 전기설비의 회로상 또는 전기기기, 기구 등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꽃

 나. 정전기 불꽃 : 양전하와 음전하가 분리되어 발생된 전하가 물질에 축적되었을 때 착화될수 있는 것

 다. 충격 및 마찰 : 두 개 이상의 물체의 충격. 마찰에 의한 불꽃

 라. 단열압축 : 고압력 압축으로 인한 온도상승 열분해

 마. 복사열 : 유리 또는 거울에 반사된 햇빛에 의한 발화

 바. 자연발화 : 셀룰로이드, 석탄, 퇴비, 목탄 등에서 발생

 사. 나화 및 고온표면 : 화기, 고온 작업장에서의 위험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기구의 종류 및 구조  (0) 2022.02.04
옥내 및 옥외소화전 설비 설치기준  (0) 2022.02.03
소방시설의 종류 및 분류  (0) 2022.02.02
화재, 폭발, 소화  (0) 2022.02.01
연소이론  (0) 2022.01.31
수소 취급  (0) 2022.01.23
정전기  (0) 2022.01.18
폭발 예방의 일반대책  (0) 2022.01.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