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

크레인 안전작업

by 날아라고니 2022. 2. 25.
반응형

크레인 안전작업

1. 크레인 정의

  • 무거운 물건을 끌어올리거나 수평으로 나르는 기계

 

2. 크레인의 종류

  가. 천장주행 크레인

  나. 갠트리 크레인

  다. 지브형 크레인

 

3. 주요 위험요인

  가. 주행레일 상부에 임의 출입 또는 정비, 보수작업 중 추락, 충돌, 협착 위험

  나. 달기기구에서 중량물 이탈에 의한 낙하 위험

  다. 와이어로프 방치로 인한 손상

  라. 중량물 운반 시 작업자와의 충돌, 협착재해 위험

  마. 훅 해지장치 등 크레인 방호장치 미설치로 인한 중량물 낙하, 충돌 위험

 

4. 크레인 안전대책

  가. 지상 사다리 입구의 출입문 및 경보장치 설치

  나. 전기적인 스토퍼(전기 리미트 스위치) 설치

  다. 코일운반용 C형 달기기구 개선

  라. 와이어로프 적치대 설치 및 하중별 Tag 부착관리

  마. 크레인 방호장치 설치 및 작동상태 유지, 관리

 

5. 크레인 안전수칙

  가. 천장크레인의 운전은 반드시 지정된 근로자가 한다.

  나. 크레인 보수공사 범위 내의 구역에는 관계자 외 출입을 금한다.

  다. 매일 작업 시작 전 브레이크, 클러치, 코늩롤러 기능, 와이어로프의 이상여부를 점검한다.

  라. 반드시 지정된 신호수 의해 명확한 신호를 받아 작업한다.

  마. 운전 중에 이상 진동, 이상음이 발생하면 크레인을 즉시 정지하고 점검, 보수한다.

  바. 크레인의 운전은 반드시 지정된 운전자가 하고, 그 외는 누구도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사. 신호는 정해진 사람이 하고 호각 및 수신호를 명확하게 한다.

  아. 신호수는 운전자가 잘 볼 수 있는 위치에서 신호를 한다.

  자. 주행, 횡행, 권상의 3방향 동시운전과 급격한 운전을 금지한다.

  차. 크레인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체인, , 훅해지장치, 시브 등은 반드시 안전기준을 준수한다.

반응형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대재해처벌법  (0) 2022.03.05
전동드릴 안전작업  (0) 2022.02.28
굴삭기 안전작업  (0) 2022.02.26
유압프레스 안전작업  (0) 2022.02.26
LPG 취급작업  (0) 2022.02.24
지게차 안전작업  (0) 2022.0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