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
- 일반적으로 강은 탄소강 또는 보통강이라 하며 제강로에서 제조된다.
1. 강의 분류
가. 강의 경도를 기준으로 한 분류
- 연강 – 탄소 함유량이 0.3% 이하로서 질이 비교적 부드럽고 연한 것으로, 제련과 가공이 용이하며 상당한 정도의 강도와 점성이 있다.
- 경강 – 탄소 함유량이 0.3% 이상으로서 질이 비교적 단단한 것으로, 대개 강도와 내마멸성이 커서 차축, 각종 오울러, 철도용 차축륜, 스프링 및 레일 등에 사용한다.
나. 강에 함유된 탄소함유량에 따른 분류
- 탄소강 – 철에 0.02~2.06%의 탄소를 합금한 것을 탄소강이라하며, 때로는 탈산제의 잔류로서 규소와 망간 등이 함유된다.
- 저탄소강 – 탄소 함량이 비교적 낮은 0.02~0.25% 범위의 저탄소강을 말하며, 보통강이라고도 한다. 대량생산체제의 일반 제강공장에서 생성된다.
- 중탄소강 – 일명 반경강이라고도 하는데 0.25~0.60%의 탄소를 함유하며 인장강도 및 내마모성이 필요한 부분, 즉 기어, 크랭크축, 연결로드, 핀 등의 기계 부품 이외에 단조 압연 또는 주조해서 사용한다.
- 고탄소강 – 0.60~2.06%의 탄소를 함유하는 고탄소강은 경강으로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큰 것이 요구되는 철도레일, 스프링, 칼, 공구류등에 사용한다.
2. 탄소강의 2차 제품
가. 강판과 형강
나. 아연 철판(함석판)
다. 주석 도금판
라. 봉강, 평강, 형강
마. 경량 형강
바. 탄소강 샷시바
사. 강관
3. 특수강
- 특수강이란 탄소강에 다른 우너소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첨가한 것으로 합금강이라고도 한다.
가. 구조물 특수강
- 크롬강 – 탄소강에 크롬을 넣으면 결정입자가 미세해지고 경도와 강도가 커지며 담금질한 것은 경도 및 마멸 저항이 커진다.
- 크롬-몰리브덴강 – 크롬강의 성질을 개선하여 몰리브덴을 소량 첨가한 것이다.
- 니켈-크롬강 – 구조용 특수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나. 특수목적용 특수강
- 스테인레스강 – 스테인레스강은 철강외 최대 결점의 하나의 녹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산성과 내열성을 크게 한 철합금으로 불수강이라 한다.
- 고 크롬계 스테린레스강 – 크롬(12~14%)-탄소(0.04~0.5%)의 13% 크롬형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있다.
- 고 크롬-니켈계 스테인레스강 – 크롬(16~20%)-니켈(7~10%)-탄소(0.2% 이하)의 합금으로 된 오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있다.
- 자석강
- 공구강 – 탄소공구강, 합금공구강
- 고속도강
- 텅스텐강
- 규소강
- 망간강
다. 공구강에 유사한 강
- 게이지용 강
- 베어링강
- 스프링강
라. 기타 특수강
- 인바
- 엘린바
마. 기타의 공구재료
- 소결경질합금
- 비금속 초경질공구
반응형
댓글